물리부문 역대 노벨상 수상자 목록
오늘은 지금까지 물리부문에서 노벨상을 수상했던 인물들에 대해 연도, 수상자, 국적, 업적 순으로 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노벨상은 매년 12월 10일에 스웨덴 스톡홀롬에서 시상을 하며 평화상만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시상을 합니다. 분야는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평화상, 화학상, 문학상, 경제학상이 있습니다.
연도 |
수상자 |
국적 |
업적 |
1901 |
독일 |
X선 발견 | |
1902 |
네덜란드 |
복사현상의 자기적 영향에 대한 연구 | |
1903 |
프랑스 |
자연방사현상 연구 | |
1904 |
영국 |
아르곤 발견 | |
1905 |
독일 |
음극선 연구 | |
1906 |
영국 |
기체의 전기전도율 연구 | |
1907 |
미국 |
분광(分光)과 측정에 관한 연구 | |
1908 |
프랑스 |
천연색사진 연구 | |
1909 |
이탈리아 |
무선전신 개발 | |
1910 |
네덜란드 |
기체와 액체의 상태방정식에 대한 연구 | |
1911 |
독일 |
열복사 법칙 발견 | |
1912 |
스웨덴 |
등대용 가스 어큐뮬레이터에 쓰이는 자동조절기발명 | |
1913 |
네덜란드 |
저온에서의 물질의 속성에 대한 연구 : 액체 헬륨의 생성 | |
1914 |
독일 |
결정에 의한 X선 회절(回折)의 연구 | |
1915 |
영국 |
X선을 이용한 결정 구조 분석 | |
1916 |
수상자 없음 |
|
|
1917 |
영국 |
원소의 특성 X선 발견 | |
1918 |
독일 |
기본 양자 발견 | |
1919 |
독일 |
양 이온 광선에서 도플러 효과 발견 및 전기장에서의 스펙트럼선 분석 | |
1920 |
스위스 |
합금의 아노말 발견(니켈강의 연구) | |
1921 |
스위스 |
이론물리학에 공헌 | |
1922 |
덴마크 |
원자구조와 복사에 대한 연구 | |
1923 |
미국 |
기본전하와 광전효과에 대한 작업 | |
1924 |
스웨덴 |
X선 분광학에 대한 연구 | |
1925 |
독일 |
원자에 대한 전자 충돌에 관한 법칙 발견 | |
1926 |
프랑스 |
물질의 불연속적 구조에 대한 연구 | |
1927 |
미국 |
산란된 X선에서 파장의 변화 발견 | |
1928 |
영국 |
리처드슨 법칙 발견 | |
1929 |
프랑스 |
전자의 파동성 발견 | |
1930 |
인도 |
빛 산란에 대한 연구, 라만 효과 발견 | |
1931 |
수상자 없음 |
|
|
1932 |
독일 |
양자역학의 불확정성원리 발견 | |
1933 |
영국 |
양자역학에 파동 방정식 도입 | |
1934 |
수상자 없음 |
|
|
1935 |
영국 |
중성자 발견 | |
1936 |
오스트리아 |
우주선 발견 | |
1937 |
미국 |
전자에 의해 굴절된 결정내에서의 상호간섭 현상을 실험적으로 증명 | |
1938 |
이탈리아 |
중성자에 의한 인공방사성 원소의 연구 | |
1939 |
미국 |
사이클로트론의 발명 | |
1943 |
미국 |
양성자의 자기 모멘트 발견 | |
1944 |
미국 |
원자핵의 자기 속성의 표시를 위한 공명 방법 | |
1945 |
오스트리아 |
배타원리 발견 | |
1946 |
미국 |
고압물리학의 재발견 | |
1947 |
영국 |
전리층에서의 애플턴층 발견 | |
1948 |
영국 |
핵 물리학 및 우주선의 재발견 | |
1949 |
일본 |
중간자의 존재 예견 | |
1950 |
미국 |
핵과정에 대한 연구에 있어 사진적 방 법 : 중간자 발견 | |
1951 |
영국 |
가속 입자에 의한 원자핵의 변환 연구 | |
1952 |
미국 |
고체에서 핵자기 공명에 대해 연구 | |
1953 |
네덜란드 |
위상차 현미경의 완성 | |
1954 |
영국 |
파동 함수에 대한 통계적 연구 동시 계수법 발명 | |
1955 |
미국 |
수소 스펙트럼의 구조에 관한 여러 발견 | |
1956 |
미국 |
반도체 연구 및 트랜지스터 효과의 발견 | |
1957 |
중국 |
패리티의 보전법칙에 위배되는 현상 발견 | |
1958 |
소련 |
체렌코프 효과의 발견과 해석 | |
1959 |
미국 |
반양성자의 존재 확인 | |
1960 |
미국 |
거품 상자의 개발 | |
1961 |
미국 |
원자핵의 형태와 크기를 규정 | |
1962 |
소련 |
물질의 응축상태에 대한 이해에 공헌 | |
1963 |
독일 |
원자핵 내에서 양성자와 중성자의 상호작용을 지배하는 원자핵 원리의 구조에 대한 핵껍질 모델 이론을 개발 | |
1964 |
미국 |
메이저 레이저 원리에 기초를 둔 실험 장치 구성을 가능하게 한 양자 전자공 학 분야의 업적 | |
1965 |
미국 |
양자 전기역학의 기초원리 연구 | |
1966 |
프랑스 |
원자에서 헤르츠파 공명연구의 광학적 방법 발견 | |
1967 |
미국 |
별의 에너지 발생에 대한 연구 | |
1968 |
미국 |
소립자에 대한 업적, 공명상태의 발견 | |
1969 |
미국 |
소립자의 분류와 상호작용에 관한 발견 | |
1970 |
스웨덴 |
자기유체역학 및 반강자성과 강자성 분야의 업적 | |
1971 |
영국 |
홀로그래피 발명 | |
1972 |
미국 |
초전도 이론의 개발 | |
1973 |
일본 |
반도체와 초전도체의 터널 효과 | |
1974 |
영국 |
전파 천문학 분야의 연구 | |
1975 |
덴마크 |
핵융합의 길을 열어놓은 원자핵 이해에 대한 업적 | |
1976 |
미국 |
새로운 소립자 발견(제이, 프사이 입자 발견) | |
1977 |
미국 |
비결정성 고체에서 나타나는 자기에 따른 전자의 반응에 대한 연구 | |
1978 |
소련 |
헬륨 액화장치의 발명과 응용 | |
1979 |
미국 |
전자기력과 원자구성 입자의 약한 상호작용간에 추론 확립 | |
1980 |
미국 |
하전공핵변환과 패리티 역전의 대칭성에 위반되는 현상 입증 | |
1981 |
스웨덴 |
화학적 분석에 전자분광학 적용 | |
1982 |
미국 |
상 전이 분석 | |
1983 |
미국 |
별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이해에 공헌 | |
1984 |
이탈리아 |
원자구성입자인 W와 Z 발견, 이는 전기 약력이론을 뒷받침 | |
1985 |
서독 |
양자화된 홀(Hall) 효과 발견, 이는 전기 저항의 정확한 측정을 가능케 함 | |
1986 |
서독 |
특수 전자현미경 개발 | |
1987 |
서독 |
새로운 초전도물질 발견 | |
1988 |
미국 |
원자구성입자의 연구 | |
1989 |
미국 |
원자시계 개발 고립원자와 원자 구성입자 들의 연구 방법 개발(패닝 트랩 의 개발) | |
1990 |
미국 |
쿼크의 발견 | |
1991 |
프랑스 |
분자의 형태를 규정하는 일반 법칙 발견 | |
1992 |
프랑스 |
아원자 입자 추적 검출기 고안 | |
1993 |
미국 |
이중 맥동성(脈動星) 확인 | |
1994 |
캐나다 |
중성자 산란 기술 개발 | |
1995 |
미국 |
원자구성입자인 중성미자와 타우 경입자 발견 | |
1996 |
미국 |
초유동체 헬륨-3의 발견 | |
1997 |
미국 |
레이저광으로 원자를 냉각해 포획 | |
1998 |
미국 |
극저온의 자기장하에서의 반도체 내 전자에 대한 연구 | |
1999 |
네덜란드 |
전자기 및 약력의 양자역학적 구조 규명 | |
2000 |
러시아 |
복합반도체 개발 | |
2001 |
미국 |
보스-아인슈타인 응축(BEC) 이론 실증 | |
2002 |
미국 |
중성미자의 존재 입증, 우주의 X선원 발견 | |
2003 |
미국·러시아 |
현대 초전도체와 초유체 현상에 대한 이론적 토대 확립 | |
2004 |
미국 |
양성자·중성자를 구성하는 소립자 쿼크를 묶는 '강력'의 새로운 속성을 밝혀낸 공로 | |
2005 |
미국 |
양자광학적 결맞음 이론으로 현대 양자광학의 토대 마련 광 주파수 및 기술로 정밀 분광학 발전에 기여 | |
2006 |
미국 |
우주극초단파 배경복사의 흑체형태와 이방성에 대한 연구 | |
2007 | 알베르 페르 페터 그륀베르크 |
프랑스 체크·독일 |
거대 자기 저항 발견에 대한 공로 |
2008 | 난부 요이치로 | 일본 | 아원자 물리학에서 절로대칭깨짐 현상을 발견한 공로 |
고바야시 마코토 마스카와 도시히데 |
일본 일본 |
우주 대폭발 후에 적어도 6개의 쿼크 모멘트가 만들어진다는 깨진 대칭의 기원에 대한 발견 | |
2009 | 찰스 가오(가오쿤) 윌러드 S. 보일 조지 E. 스미스 |
영국/미국 미국/캐나다 미국 |
광섬유를 이용해 빛의 전달과정을 규명 |
2010 | 안드레 게임 콘스탄틴 세르게예비치 노보셀로프 |
러시아 러시아 |
흑연에서 그래핀을 분리해낸 공로 |
출처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